
초종은 '돌아가시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군자의 죽음을 終 소인의 죽음을 死 라 하였다.
시신을 깨끗이 씻기고 수의를 입히며 ,반함하는 절차로서 시신을 정화하는 절차이다.
운명 다음날에 하는 일로서 시신을 베로싸서 묶어 입관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절차이다.
소렴에서 싸서 묶은 시신을 입관하는 절차로 일반적으로 입관이라고 하는 절차를 포함하고 있다. 3일째에 대렴을 하는 것은 혹시 살아나기를 기다리는 효성 때문이라고 한다.
망자와의 친등 관계에 따라 오복의 제도에 맞추어 상주들이 복을 입는 것을 말한다.
조상이란 상주를 위로하고 망자에게 인사를 하는 일을 말한다
상주가 멀리서 부고를 들었을 때 하는 행위와 해야 하는 일
장사할 장소와 시간을 정하는 절차이다
발인 하루 전부터 발인하기 위해 영구를 옮기고 조상에게 인사하는 모든 절차 들이다
관을 상여에 싣고 장지로 운반하는 행사의 절차이다
영구가 장지에 도착하여 하는 일로서 장사를 지내기 위한 일이다. 요즘에도 행하고 있는 절차와 차이가 없다 우리 전통의 상 장례의 절차는 보통 5일장으로 치뤄 졌으나 현대사회는 교통의 발달과 사회의 다변화로 보통 3일장으로 간소화함과 전통의 절차 보다는 편리함의 위주로장례를 치르고 있으며 옛 전통례는 발인시 꽃 상여를 만들어 마지막 가시는 길을 떠났으나 현재는 버스문화로 바뀌어 사자위에 걸터 앉아가는 잘못된 문화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나 인식있는 사람은 영구차를 별도로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