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례정보 | 더피플라이프

로고

전체메뉴

더피플라이프

닫기
  • 장례정보
  • 상례정보
장례정보

상례정보

수의

01 수의(壽衣) : 상을 당하여 염습할때에 돌아가신 분에게 정성껏 입혀 드리는 옷을 말합니다.

  • 우리 민족문화의 근간은 관혼상제(冠婚喪祭)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왔고 그중 으뜸은 상례문화(喪禮文化)라 할 수 있으며 이 상례문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인과 영생을 함께할 수의입니다.
  • 즉, 수의는 자식이 고인에게 드리는 마지막 예와 효의 표시이기도 합니다.
  • 우리 나라 삼베의 역사는 매우 길어, 한민족이 한반도로 이주할 때에 벌써 삼베를 가지고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삼국지」[위지동이전]에는 삼베의 사용이 기록되어 있고, 「삼국사기」역시 신라 경주에서 추석날 삼베 짜기 시합이 있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 이로 미루어 한반도에서 면이 일반화되기 전에는 삼베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신라 시대 때부터 크게 발달한 마직 기술은 이미 고려 때에 이르러 30승포, 40승포 같은 극세포 즉 본문이 말하는 세마포가 직조되었습니다. 한반도에서 이처럼 마직 기술이 일찌기 발달할 수 있었던 것은 풍토상으로 한반도가 삼재배에 더없이 적당하였기 때문입니다.
  • 이러한 수의에 대하여 정확한 연구자료는 없지만 935년 신라의 마지막왕인 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가 나라를 빼앗긴 설움에 당시 서민들이 즐겨입던 누런 삼베의 누더기 옷을 입은 채 개골산 (皆骨山 - 지금의 금강산) 으로 들어가 나오지 않자이에 우리의 조상들은 상(喪)을 당했을 때 삼베옷을 입고 망자(亡者)에 대한 애도의 뜻을 표하는 상복(喪服)의 풍습으로 전해내려오고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어쩌면 이러한 삼베수의 문화가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는 이유는 단지 우리의 전통적인관습에 있기보다는 삼베가 갖고 있는 놀라운 여러 가지의 기능을 이미 우리의 조상들은 알고 계셨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 즉, 삼베(大麻)는 다른 직물은 물론 같은 마직물인 아마(亞麻)나 모시(苧麻)보다도 매우 뛰어난 수분 흡수력과 배출력, 항균(抗菌)기능과 항독(抗毒) 그리고 살속까지 파고든다는 자외선 차단기능을 갖추고 있는 직물이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이러한 수의를 삼베로하게되면 조상의 시신으로부터 잡균의 서식을 막아주어 시신을 깨끗하고 거룩하게 모실수 있게되는 것입니다.
  • 또한, 풍수지리설에따라 좋은 명당에 묘를 쓰듯이 삼베로된 수의의 사용은 이러한 삼베의 특성 때문에 시신이 잘 유기되어고인의 유골이 변색되지 않고 황골(黃骨)이되어 동기감응(同氣感應)식으로 조상의 기가 후손에 전해짐으로서 후손들에게 번영과평안을 이룰 수 있게 해주는것이라 합니다.
  • 수의는 염습 때 죽은 사람의 시신에 입히는 의복이다 이러한 수의가 갖는 상징적인 의미는 바로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죽음에 대한 관념이 되므로 중요한 의의를 갖습니다.
    수의가 제작되는 과정과 소용되는 절차를 그대로 객관적인 입장에서 분석하여 수의에 형상화되어 나타나는 내용을 고찰하여 나타난 속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긍정적인 의미에서 이 수의는 혼례복과 같이 성장하고 수의를 제작하는 날은 이웃과 친지들이 함께 모여 잔치를 치르듯 즐거운 분위기로 하고 제작 후에는 수의를 착용할 사람이 수의를 자주 꺼내 보며 즐거워하며 또 이 수의를 결혼하는 이에게 3번 빌려 주면 쌍방간에 다 좋다고 믿습니다.
  • 둘째. 부정적인 의미로는 제작시 특별한 금기사항이 나타나는데 수의는 주로 윤달에 만들고 아침에 시작하여 하루해 안에 완성해야 한다 또 수의로 꿰매는 실은 도중에 잇거나 끝을 옥매치면 안되고 시신에 입힐 때는 형식적인 목욕을 시킨 후 엄숙하고 경건하게 다룹니다.
  • 이와 같은 수의의 두 가지 속성을 중심으로 수의에 담긴 그 상징성을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수의에 대한 긍정적 의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는데 즉 삶이 끝난 시신에게 입히는 최종의 의복으로 죽음이라는 비통한 의미가 있는데도 도리어 긍정적 의미를 부여합니다. 수의는 돌아가신 후에 입는 옷이므로 해당하는 사람의 사주(四柱)를 비롯하여 옛부터 최대한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준비하는 것이 도리입니다.
  • 그러나 옛날에는 주역을 비롯하여 공부를 많이 한 일부 지식인들을 제외하고는 세심하게 준비하기가 어려워서 일반 서민들이 미리 준비하는 경우에는 상세한 사항을 모르니 그 대안으로 윤달에 마련하였고 윤달에도 미리 준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가능한 만들기 시작한 당일인 그날 하루동안에 옷을 지었던 것이다. 강조하여 주의할 사항은...특히 화장(火葬)으로 모실때에는 매장(埋葬)으로 모실때, 그 이상으로 반드시 청결하고 질이 좋은 천으로 수의를 준비하여 정성껏 입혀드려야 하는 일입니다.

02 수의를 미리 지으면 오히려 장수를 할 수 있는가 ?

  • 살아생전에 수의를 미리 마련하면 오랜동안 장수를 한다고 확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매우 잘못된 것입니다.
  • 사람의 운명은 하늘에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 그렇다면 이러한 말은 어디서 유래한 것인가?
  • 모든일이 그러하듯이 자신의 몸과 마음에 정성을 기울이는 사람과 자신의 몸과 마음을 그져 되는데로하여 살아가는 사람의 차이점은 그야말로 극과 극이 아닐 수 없습니다.
  • 수의를 미리 마련한다는 것은 정성스러운 마음의 발로이며 준비인것입니다.
  • 수의를 미리 지어 놓게 되면 나이드신 분들은 누구나 삶과 죽음의 의미를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고 몸과 마음을 조신,조심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또한 마음을 평안하게 지니게 되는 분들도 적지 않습니다.
  • 이로 인하여 앞으로 남은 여생을 다시금 바르게 생각하여 살아가니 이것이 전혀 근거가 없는 말은 아닌 듯 싶습니다.
  • 그리고 병중에 계시는 부모님은 오히려 건강을 쉽게 찾아 오랜동안 장수를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이는 수의(壽衣)자체가 주는 기운보다는 돌아가실때 편안히 입고 갈 수 있는 정성스런 옷을 미리 마련해 놓았다는 안정감과 그로인한 심신의 평안함으로 병을 더욱 쉽게 이겨냈던 까닭이 된것이라 여겨집니다.
  • 즉, 모든 병은 마음에서 오는것이 가장 크고, 마음이 평안하면 몸도 평강하며 좋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03 가진수의

수의복과 그에 따른 부속품 일체를 뜻하는것으로 격식을 갖추어 준비하는 수의

04 평수의

격식을 갖추어 준비하는 가진수의 중에서 장매, 천금(이불), 지금, 남자의 도포, 여자의 원삼을 제외한 것으로 주로 하류계층에서 이용하던 수의를 말한다.

05 남자의 수의

  • 1. 복건(모자)
  • 2. 도포
  • 3. 도포끈
  • 4. 두루마기
  • 5. 포오(저고리)
  • 6. 속저고리
  • 7. 겉바지
  • 8. 단고(속바지)
  • 9. 천금(이불)
  • 10. 지금(요)
  • 11. 베게
  • 12. 면모(얼굴싸게)
  • 13. 늑백(행전)
  • 14. 손싸게
  • 15. 버선
  • 16. 오낭(조발랭이)
  • 17. 소대(허리띠)
  • 18. 댓님
  • 19. 장매(염포)
  • 20. 턱받침
  • 21. 악수(장갑)

06 여자의 수의

  • 1. 복건(모자)
  • 2. 원삼
  • 3. 원삼끈
  • 4. 겉치마
  • 5. 포오(저고리)
  • 6. 속저고리
  • 7. 속치마
  • 8. 겉바지
  • 9. 단고(속바지)
  • 10. 천금(이불)
  • 11. 지금
  • 12. 베게
  • 13. 면모(얼굴싸게)
  • 14. 쪽두리
  • 15. 손싸게
  • 16. 버선
  • 17. 오낭(조발랭이)
  • 18. 장매(염포)
  • 19. 턱받침
  • 20. 악수(장갑)

07 화장(火葬)과 수의

  • 어떤 경우, 부모님을 화장(火葬)으로 모실때에 매장(埋葬)으로 모실때보다 다소 질이 떨어지는 좋지못한 수의를 마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매우 잘못 된 것이다.
  • 수의란 ? 저승길에 오르기 위하여 새로운 기운으로 준비하는것이며 화장시에 수의는 육체와 함께 불에 타는 관계로 이때에는 평안한가운데 경건히 가시도록 우주의 대자연으로 순탄하게 동화할 수 있는옷을 청결하고도 질이 우수한것으로 정성스럽게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
  • 그러나 타고 없어지는 것이라는 생각에, 질이 낮은 천과 함께 유해를 화장하는 경우는 돌아가신분의 타고남은 뼈의 상태도 좋지않음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 따라서 화장(火葬)으로 모시는 경우에는 오히려 매장(埋葬)으로 모실때 그 이상으로 더욱 마음을 모아 대자연과 어려움없이 동화(同化)할 수 있도록 최대한 정성스런 마음으로 수의를 마련해 드려야 할 것이다.

08 한국의 옛 수의

  • 세제지구(歲製之具)라고도 한다. 유교에 따른 의식을 치르기 전, 한국의 옛 수의가 어떠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사람이 죽어서 입는 옷이니 만큼 당시의 성장(盛裝)으로써 수의를 삼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수의는 주로 윤달에 마련하는데, 하루에 완성하여야 하고 완성된 것은 좀이 쏠지 않게 담뱃잎이나 박하잎을 옷 사이에 두어 보관하며, 칠월 칠석에 거풍하였다. 재료는 양반집에서는 비단으로 하였으나 일반은 명주로 만들었다.
  • 조선시대에는 관(冠)·혼(婚)·상(喪)·제(祭)의 사례(四禮)를 유교, 특히 《주자가례(朱子家禮)》에 준하여 거행하였다.
  • 수의는 《사례편람(四禮便覽)》 상례조(喪禮條)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남자는 복건(幅巾)·망건(網巾)·심의(深衣) 또는 단령(團領)·답(:소매 없는 衣) 또는 직령(直領)·대(帶:條帶)·과두(頭:배와 허리를 싸는 것), 포오(袍:中赤莫)와 같은 설의[褻衣], 한삼(汗衫:몸에 다는 小衫, 속칭 적삼)·고(袴)·단고(單袴:속바지)·소대(小帶:허리띠)·늑백(勒帛:속칭 행전)·말(襪)·구()·엄(掩:首)·충이(充耳)·멱목(目:覆面)·악수(握手:手)를 갖추었다. 여자의 경우는, 사()·심의 또는 단의(衣) 또는 원삼(圓衫)·장오자(長子:속칭 長衣)·대·삼자(衫子:속칭 唐衣)·포오(속칭 저고리)·소삼(小衫:적삼)·과두(속칭 요대)·상(裳)·고·단고·말·채혜(彩鞋)·엄·충이·명목·악수 등이다. 위의 수의는 관습화하여 오늘날에도 특수한 종교의식에 의한 염습 외에는 이를 따르며, 후박(厚薄)이 있을 뿐이다.

가입상담신청

  • 이름
  • 연락처
보기

개인정보를 위한 이용자 동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필수)

1. 수집/이용 개인정보 항목 : 성명, 연락처 (휴대전화번호)
2. 수집/이용 목적 : 상조 서비스 이용을 위한 회원정보 확인 및 가입상담 목적
3. 보유기간 : 상담 신청일로부터 1년

* 개인정보 수집 이용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으나, 미동의 시 가입상담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더피플라이프 회원인증

  • 이름
  • 연락처
보기

개인정보를 위한 이용자 동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필수)

1. 수집/이용 개인정보 항목 : 성명, 연락처 (휴대전화번호)
2. 수집/이용 목적 : 멤버십 서비스 이용을 위한 회원정보 확인 및 이용상담 목적
3. 보유기간 : 상담 신청일로부터 1년

* 개인정보 수집 이용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으나, 미동의 시 상담 및 서비스 이용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